공부 기록
[통계개념] 잡다하게 정리 본문
신뢰구간(Confidence interval, CI)
3강. (통계-3) 신뢰구간
안녕하세요~ 너무 친절한 콩수학의 수리영역 강의예요. 콩수학 강의는 수능을 위한 중요개념과 기출문제풀...
blog.naver.com
표본 평균은 모집단에서 뽑은 표본의 데이터의 평균 값을 의미한다.
ex) 20대 남성 중 100명의 키의 평균이 174cm이다. //20대 남성이 모집단, 그중 100명이 표본, 174cm가 표본 평균
그럼 여기서 20대 남성의 키는 표본 평균에 오차범위 ±5라고 하고 신뢰도를 65%라고 하면
169~179사이에 95% 확률로 전국평균이 있을것이다. 여기서 169~179가 신뢰구간인 것이다.
* 정리하자면 신뢰 구간은 모집단에서 뽑은 표본의 평균을 구한다. 여기서 표본 평균이 실제 모집단에서 가능할 것이라는 오차범위를 지정하고 구한 표본 평균에서 오차범위로 나타내면 그것이 신뢰 구간이 되는 것이다.
왜 주로 95%로 두는 거고 유의 수준은 0.05로 두는거지...?
유의 수준
출처 : 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jione322&logNo=220903024536
유의확률 p value와 유의수준 진.짜. 쉽게 이해하기!
혹시 당신도 p<0.05 를 그저"유의미한 data이다""95%확률로 유의미하다" 라고 해석하고 있...
blog.naver.com
귀무가설이란?
직접 검증의 대상이 되는 가설로 연구자가 부정하고자 하는 가설
대립가설이란?
귀무가설에 반대되는 사실로 연구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
귀무가설(H0) | 대립가설(H1) | |
H0을 기각 | 제 1종 오류 | 참 |
H1을 기각 | 참 | 제 2종 오류 |
제 1종 오류를 범할 확률의 최대값을 α라 하며 이 값을 유의수준이라 한다. (유의 수준은 0과 1사이의 값을 가진다.)
일반적으로 유의수준은 <0.05로 두는데 이것이 성립하면 귀무가설이 올으나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연구자가 채택할 확률이 5%미만이다.
확률 분포와 확률 밀도 함수
연속 확률 분포
연속 활률 변수의 값은 실수 집합처럼 연속적이고 무한개의 경우의 수를 가진다. 이러한 연속 확률 변수의 분포를 연속 확률 분포라고 한다.
'예전 것들 > 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개념] 평균, 표준편차, 분산에 대한 개념 (0) | 2021.03.15 |
---|---|
statistics_study 2 (0) | 2021.02.23 |
statistics_study 1 (0) | 2021.02.23 |